August 18, 2016

泥中蟠龍's Game愛歌_Harsh advice for local game publishers

泥中蟠龍's Game愛歌
[A love song for games of the dragon waiting for an opportunity]
 
Harsh advice for local game publishers
 
I loved Hong Kong action films such as A Better Tomorrow, Casino Raiders, The Killer during my school days. In the early 90s, Hong Kong pictures were pretty fun and their movie characters were all awesome. Schoolboys tried to look cool with a matchstick in their mouth like Chow Yun-fat and Leslie Cheung even appeared in the domestic commercial film on the small screen. However, the Hong Kong cinemas had seen their best days in ten years due to repeated production of popular-formula genre and a few top-rated actors appeared in several movies.
 
Many people say that Korea's gaming industry is struggling nowadays. Top-ranked games have remained the same in order and newly-released games haven't done especially well. Even good performances of some of them are minuscule compared to those of the greatest hits in the past. In such conditions, the majority of investors suffered a great loss and they were reluctant to make any fresh investments in the video games, which has caused a vicious cycle in the industry.
Most readers probably know the situation in the national gaming industry. The reason why I mentioned the widely-known facts is to criticize irresponsible actions of local big game publishers which have prolonged the vicious cycle.
 
Recently, it seems that the number of bankrupt companies may surpass the number of newly-released games. However, data shows that the market has become bigger. Then where did the increased game revenue go? The only winners must be the big publishers. They have earned consistent profits from the minority of games remaining in the upper ranks during the past few years. Netmarble is said to have 1 trillion won in revenue and sales of Gamevil and Com2uS is known to reach half of it. I don't want to take an issue with corporate profits. However, the large publishers have many game developers into the jaws of death for their own hands now. A barely completed game under tough circumstances due to poor investment is like a lifeline for them. It's nothing short of a matter of life and death. The big game publishers don't find out new ways to market those games which are less effective than existing profitable games. Frankly speaking, most major distributors don't take risks to conduct a huge marketing campaign because they won't suffer a serious loss if they make sales as much as up-front advance payment including down payment, minimum guarantee, license fee, or development cost, etc. The neglected games disappear with the developers after barely making money to meet the publishers' costs not even having a chance to be loved for a long time by users. Publishers may prefer the cost-effective favored product than a new game with an unconvincing possibility when it comes to profitability. However, there is nothing forever. If they abandon potential developers for short-term profits, game makers cannot survive in the market and even game studios, that managed to survive the fierce competition, won't like to work with those vicious distributors. Video games are created by men not robots. Game developers cannot pull together with business partners who they don't trust with. Without consistent cooperation from a longer-term perspective to support developers' potentiality, there is no bright future for domestic publishers. I hope that local publishers won't repeat the same failure as Hong Kong pictures in the early 90s.
 
 
This is from Kyunghyang Games column by 泥中蟠龍 since September 2013.
(http://www.khgames.co.kr)
 
Translation by Kim Ki-hui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 국내 퍼블리셔들에게 하는 쓴소리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

국내 퍼블리셔들에게 하는 쓴소리



영웅본색”, “지존무상”, “첩혈쌍웅필자가 학창 시절 미친 듯이 좋아했던 홍콩 영화들이다. 90년대 초반 홍콩 영화는 너무나 재미있었고, 주인공 들은 너무나 멋있었다. 남학생들은 주윤발처럼 성냥개비를 물고 다녔고, 장국영은 국내 CF에 출연하기도 했다. 그런데 그런 홍콩 영화의 전성기는 인기가 검증된 영화 스타일의 반복 생산과 새로운 스타를 발굴하지 못하고 검증된 스타들만 반복 출연하면서 불과 10년을 가지 못했다.
 
최근 게임 업계가 어렵다는 이야기를 많이한다. 매출 상위 게임들의 순위가 고착화되고, 새로 출시된 게임들의 실적은 좋지 못하다는 소식만 들리고 있다. 간혹 들리는 좋은 실적이라는 소식도 예전에 히트작이라 이야기하던 게임의 실적과 비교하면 초라하기만 하다. 그런 상황이 반복되면서 많은 투자사들은 손실을 보았고, 결국 새로운 투자를 줄이면서 신작 게임의 제작은 더욱더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여기까지 이야기는 업계에서 흔하게 하는 이야기이고 특별할 것도 새로울 것도 없다. 오늘 필자가 많은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를 꺼낸 이유는 이런 악순환이 깊어지는데 일조하고 있는 대형 퍼블리셔들의 무책임함을 이야기하고 싶어서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현재 게임 제작사들은 어느 업체가 파산했다는 이야기가 어느 업체가 신작을 론칭했다는 이야기보다 듣기 쉬울 정도로 상황이 어렵다. 그러나 분명 산업의 규모는 커지고 있고, 시장 규모는 성장했다고 데이터가 나오고 있다. 그럼 성장한 매출은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인가? 그건 분명 퍼블리셔들이다. 몇 년 전 게임들이 아직 매출 상위권에 있고, 그 게임들로 돈을 벌고 있는 것은 분명 퍼블리셔들이다. 넷마블은 매출 1조를 이야기하고, 게임빌은 컴투스와 합쳐서 그 절반정도를 하고 있다. 그런 대형 퍼블리셔들이 현재 매출 순위 상위권의 게임들을 통해 많은 수익을 내고 있다. 기업이 매출을 내고, 이익을 내는 것을 문제 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현재 대형 퍼블리셔들의 운영 형태를 보면 자사의 이익을 위해 서비스하는 많은 게임 제작사들을 사지로 내몰고 있다. 투자도 잘되지 않는 어려운 상황에서 어렵게 완성한 게임은 제작사의 사활이 걸려있는 생명줄과 같다. 그런 게임을 현재의 대형 퍼블리셔들은 출시후 기존 서비스 게임과 비교해서 마케팅 효율이 기존 게임보다 못하면 미련없이 버려버린다. 퍼블리셔 입장에서는 크게 마케팅을 하지 않더라도 계약금을 회수할 수준의 매출 정도만 나오면 큰 손해는 없다. 그렇게 방치된 게임은 론칭 초반 반짝 매출로 미니멈 개런티와 수익쉐어를 통한 계약금 정도만 퍼블리셔에게 벌어주고 제작사와 함께 사라져 버린다.
 
물론 퍼블리셔 입장에서 1만원 투자해서 11천원 버는 신작 게임보다 1만원 투자해서 2만원 버는 것이 검증된 기존 게임에 투자하는 것이 수익성 측면에서 좋을 것이다. 그러나 영원한 게임은 없다. 지금 매출을 올려주는 게임이 좋다고 다른 게임들을 포기한다면 제작사들은 점점 사라질 것이고, 남아 있는 제작사들도 퍼블리셔를 찾아오지 않을 것이다. 게임은 로봇이 만드는 것이 아니다. 사람이 만드는 것이다. 신뢰하지 못하는 파트너와 일을 할 수도 없고, 하고 싶지도 않을 것이다. 당장 수익성이 떨어지더라도 같이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파트너 제작사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가지 않는다면 국내 퍼블리셔의 미래는 점점 어두워질 것이다. 당장 돈이 되지 않는다고 새로운 스타를 발굴하고,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는 것에 투자하지 않다가 망해버린 90년대 홍콩 영화 시장의 전철을 국내 퍼블리셔들이 밟지 않았으면 좋겠다.
 




※ 이중반룡의 게임애가(泥中蟠龍의 Game愛歌)는 본인이 현재 <경향 게임스>에 2013년 9월부터 연재하고 있는 칼럼의 원본을 올리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