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vember 10, 2016

泥中蟠龍's Game愛歌 [A love song for games of the dragon waiting for an opportunity] What publishers need now is to reflect on themselves

泥中蟠龍's Game愛歌
[A love song for games of the dragon waiting for an opportunity]
 
What publishers need now is to reflect on themselves
 
My wife and I watched a movie Where to Invade Next last weekend. It's the black-comedy-like American documentary filmsuggesting some European countries' alternative methods of solving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in the United Statesdirected by Michael Moore who is famous for his other films such as Fahrenheit 9/11 and Sicko. I was more interested in labor rights among many issuesschool education, health care, and human rights, etcwhich the film deals with. To sum up, a corporate has to protect the rights of workers if it wants them to promote the company's interests. It also applies to every boss-subordinate relationship by employment agreement in the entire industry. I'd like to talk about how to establish a fai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ies.
 
Recently I participated in a workshop for the revision of the legal system in the content industry. There were case presentations on various unfair business deals, especially examples in the gaming industry. Most of them were about dishonest business practices between big publishers and small businesses. Most smaller developers actually can't afford to take legal action against those large-size companies. And large publishers know the fact better than anyone. Domestic game publishers have canceled contracts with developers due to the recent slowdown in the Korean economy and deteriorating profitability in the local gaming industry. Besides, some have neglected to promote newly-released games. Most publishers are now only focusing on marketing for a few cost-effective existing video games disregarding the other untested new games. In this situation, a developer who made a new game cannot help facing a state of financial difficulty.
 
As the employer-employee relationship, it is highly desirable that the developer's achievement leads to the publisher's success. However, at present, many publishers turn a blind eye to smaller game studios in a predicament for its immediate gains. Even worse, the game maker, which I invested in, was absurdly asked to make up for the financial loss recently when the company demanded cancellation of the contract since the publisher didn't spend proper marketing expenses to promote the new game. I heard on the grapevine that the publisher will downsize its publishing business to concentrate on self-development games while it's focusing on existing games that have gotten satisfactory results so far.
 
A video game publisher is a company that publishes and distributes video games. If it looks down on smaller developers because it is the large company with sufficient money, none of the game makers want to work with the untrustworthy distributor. Neither of them will help out with the publisher when it faces difficulties some time even though it currently has a firm grip on the local gaming industry. They may develop a game itself not because of its business strategy, but rather of concerns over a lack of profitable video games. A less experienced marketing team with untested new games may test its ability for a self-developed video game which costs more than millions of won to develop. Now I expect that big publishers try to be in a trustworthy partnership with smaller developers to ensure that won't happen.
 
 
 
This is from Kyunghyang Games column by 泥中蟠龍 since September 2013.
(http://www.khgames.co.kr)
 
Translation by Kim Ki-hui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 국내 퍼블리셔의 반성이 필요한 시간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

국내 퍼블리셔의 반성이 필요한 시간


Michael Moore where to lnvade next ?
마이클 무어 감독 "다음 침공은 어디?"


 
지난 주말 필자는 아내와 다음 침공은 어디?” 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보았다. “화씨 9/11”식코로 유명한 마이클 무어 감독의 이 영화는 미국에 필요한 유럽의 여러 가지 좋은 제도를 소개하는 블랙 코메디같은 영화이다. 교육, 의료, 인권 등 다양한 제도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지만, 이 영화에서 필자에게 좀 더 다가온 이야기는 노동 제도에 대한 이야기였다. 여러 이야기가 나왔지만, 요약하면 노동자의 권익을 보호해 주어야 그 노동자들이 기업의 이익도 지켜준다는 내용이었다. 이런 노동에 대한 제도는 단순히 하나의 기업 안에 이루어지는 일이 아닌 하나의 산업내에서 계약 관계로 이루어지는 속칭 갑을관계에도 적용된다. 이번 칼럼에서는 이런 갑을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공정한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한다.
 
얼마전 필자는 콘텐츠 산업의 법제도 개선에 대한 주제로 워크샵을 다녀왔다. 다양한 불공정 사례에 대한 사례 발표가 있었으며, 특히 많은 불공정 사례가 게임 산업에서 이루어진 계약에 대한 사례였다. 다양한 사례가 나왔으나, 내용을 요약하면 공정하지 못한 계약의 이행으로 의 입장에 있는 중소 제작사들이 피해를 입었다는 내용이다. 대부분의 중소 제작사들은 대형 퍼블리셔들에 대해 법적인 다툼을 할 능력이 없다. 이러한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아는 것이 대형 퍼블리셔들이다. 최근 국내 게임 퍼블리셔들은 산업 전반의 성장이 둔화되고,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많은 계약을 해지하고 있다. 또한 오픈한 게임의 마케팅을 등한시 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대형 퍼블리셔의 마케팅 트랜드를 보면, 신작을 출시해서 마케팅 비용을 들여 실적을 높이는 것보다 이미 마케팅 비용대비 실적이 검증된 게임에 예산을 집중하고, 출시한 신작을 등한시 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이 경우 신작을 제작한 중소 제작사는 자금적으로 무척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된다.
 
제작사와 퍼블리셔의 관계는 고용자와 노동자의 관계처럼 제작사의 성공이 퍼블리셔의 성공으로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 업계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는 퍼블리셔가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제작사의 어려움을 모르척하는 관계로 가고 있다. 당장 눈앞의 작은 이익 때문에 파트너쉽을 가져가야 할 제작사를 외면하는 것이다. 더 심한 경우도 있다. 필자가 투자한 어떤 제작사는 마케팅을 외면한 상장사인 퍼블리셔에게 계약 해지를 요청하자 퍼블리셔가 계약금 등의 손실을 이야기하면서 더 많은 손실로 힘들어하는 제작사에게 손실을 보전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업계에는 해당 퍼블리셔가 퍼블리싱 사업을 축소하면서 신작을 외면하고 실적이 나오는 기존 서비스 게임에 집중하면서, 앞으로 직접 제작하는 게임을 중심으로 사업을 집중한다는 이야기가 들려오고 있다.
 
퍼블리셔는 제품을 유통하는 회사이다. 규모가 크고, 자금력이 있다고 해서 중소 제작사를 무시하고, 자사의 이익을 위해 제작사를 홀대한다면, 어떤 제작사도 그런 유통 회사를 통한 자사 제품의 유통을 원하지 않는다. 시장의 영향력이 있을 때는 모르겠으나, 언젠가 그런 회사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는 도와주는 회사가 없을 것이다. 전략이 아니라 유통할 제품이 없어서 직접 제작을 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될지 모른다. 새로운 게임에 집중해 본 경험이 없는 마케팅 팀은 수십억이 투자된 자사의 게임으로 마케팅 테스트를 해야 할 지도 모른다.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지금이라도 퍼블리셔들이 중소제작사들과 진정한 파트너쉽을 만들어 가길 기대해 본다.




 ※ 이중반룡의 게임애가(泥中蟠龍의 Game愛歌)는 본인이 현재 <경향 게임스>에 2013년 9월부터 연재하고 있는 칼럼의 원본을 올리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