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ptember 28, 2016

泥中蟠龍's Game愛歌 [A love song for games of the dragon waiting for an opportunity] Video game and fund (Part.3)

泥中蟠龍's Game愛歌
[A love song for games of the dragon waiting for an opportunity]
 
Video game and fund (Part.3)
 
In Part.3, I'd like to mention how investors see video game startups. Recently, I had an investment consultation with the CEO of a video game developer. Of course, as a venture capitalist, it was not unusual for me to have a one-on-one consultation with a potential investee looking for an investment opportunity. I was merely surprised at a heavy amount of fixed costs. People who want to start a so-called business venture should be ready to explore an unknown territory by taking risks for future growth. In particular, they can cut non-labor costs including rent, buildings, and office machinery, etc. in contrast with other process industries. Workers in listed or large firms commonly receive high salaries, however, most employees in startups with very low sales cannot expect it as much as those large income earners. Furthermore, the median wage for the workers in those company is not that much higher because of various levels of salaries of the members. For example, a company, where its total number of employees is about twenty, generally spends an estimated 80-90 million won for monthly fixed costs including personnel expenses which account for approximately 80-90 percent of the total costs.
 
The fixed costs of the twenty-employee company were about 140 million won which is equal to the average costs for a sound firm stayed in the black. Of course, I don't mean that a worker at a young company should be paid well below the minimum wage. As a nine-to-fiver, I think it makes perfect sense that salary should be increased depending on individual ability. However, start-ups generally are made up of future-valued people and they offer many ways to motivate their workers such as various incentives or stock options. If workers in the company without any sales receive the same pay as other stable corporate, it means that not only working-level staff but also executives are paid very high salaries. From the investor perspective, those executive directors seem to live comfortably with other people's money. The more absurd fact is that there are many similar cases in the industry.
 
As I mentioned earlier, the external environment is not friendly to the domestic gaming industry. And I said that surviving is the most important in these hard times. Most people in the field probably agree that the current investment environment is not that good and the industry is in deep trouble. Nonetheless, whenever I have a conversation with local video game business owners, I often feel that most of them are not tend to aware of the current crisis. All members have to tighten their belt if they want to survive. And executivesthe biggest beneficiaries when the company succeedsshould naturally sacrifice the present to the future than working-level employees. Intensity and passion are essential for a business venture. I've never heard of the word 'cash-rich startup' before. The rich business venture is no longer a start-up.
 
 
This is from Kyunghyang Games column by 泥中蟠龍 since September 2013.
(http://www.khgames.co.kr)
 
Translation by Kim Ki-hui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 게임과 자본 - PART 3 -



이중반룡의 게임애가
泥中蟠龍‘s Game愛歌

게임과 자본 - PART 3 -


 
이번 칼럼에서는 앞선 2개의 칼럼에 이어 자본이 바라보는 게임 벤처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앞선 칼럼의 이야기를 잠깐 정리해보자면 현재 국내 게임 투자가 많이 위축되어 있지만, 해외 금융 시장의 영향에 따라서는 지금보다 더 한 투자 위축을 경험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와 투자 위축에 따라 국내 게임 기업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업체의 희망 기업 가치는 떨어지지 않아 괴리감이 있다는 이야기를 했다.
 
최근 필자는 모 게임 업체와 투자 상담을 진행한 적이 있다. 물론 투자 상담 자체가 필자의 일이고, 투자 상담 자체가 특별한 일은 아니다. 다만 필자가 놀란 것은 해당 업체의 고정 비용이었다. 우리가 통상 벤처 기업이라고 말하는 업체는 미래의 성장 가치를 위해 현재의 어려움을 감수하고 모험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특히 게임 업체는 여타 장치 산업과 달리 사무실 공간 비용 등의 약간의 금액을 제외하면 인건비 이외의 고정비가 아주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규모가 큰 업체나 상장사의 경우는 아주 높은 수준의 급여를 받는 경우를 흔하게 볼 수 있으나, 매출이 아주 적은 일반적인 벤처 기업에서 높은 수준의 급여를 받는 사람을 보는 것은 흔하지 않다. 특히 다양한 급여를 받는 사람들이 모인 기업의 특성상 평균치가 높은 경우는 특히 드물다. 보통 20명 수준의 게임 업체를 기준으로 매월 8~9천만원 수준의 고정비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중 인건비가 80~90%를 차지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최근 필자가 상담한 업체의 고정비 수준은 20명을 기준으로 약 1.4억원 수준이였으며, 이는 이미 흑자를 내고 있는 규모있는 제작사의 고정비 수준이다. 물론 필자가 벤처 기업에 일하면 낮은 인건비로 혹사당해야 한다는 의미로 이런 글을 쓰는 것은 아니다. 필자 역시 월급쟁이이고, 능력에 따라 급여를 받는 것을 부정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다만, 벤처 기업은 미래 성장 가치에 투자한 사람들의 집단이고, 인센티브, 스톡옵션 등의 다양한 동기 부여를 위한 방법을 가지고 있다. 매출도 없이 매월 통장 잔고가 줄어드는 기업에서 안정적인 큰 기업에서 받던 수준의 급여를 대부분 받고 있다는 것은 실무를 담당하는 개발자의 급여도 높다는 이야기지만 기본적으로 임원들의 급여 수준이 아주 높다는 이야기이다. 투자를 하는 사람 입장에서 극단적으로 생각하면 그 업체의 임원은 남에게 투자받은 돈으로 넉넉하게 급여를 받아가면서 편하게 일하는 사람들과 다름없다. 게다가 더 당황스러운 것은 이런 업체가 하나 둘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앞선 두 편의 칼럼부터 필자가 지속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외부 환경이 국내 게임 업체에게 좋지 않다는 사실이다. 또한 어려울 때는 살아남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도 했다. 최근 게임 업계의 투자 환경이 좋지 않고, 위기라는 사실은 대부분의 게임 업체 종사자들이 공감하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업체들과 이야기하면서 필자가 느끼는 점은 위기 의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살아남는 것이 목적일 때는 허리띠를 졸라매야 한다. 그것이 실무를 하는 개발진을 줄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성공했을 때 가장 많은 과실을 가져갈 수 있는 임원들이 더 졸라매라는 의미이다. 게임 업체도 분명 벤처 기업이다. 벤처 기업이라면 정말 치열함이 필요하다. 필자는 넉넉하고 풍족한 벤처 기업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 넉넉하고 풍족하면 이미 벤처가 아니다




※ 이중반룡의 게임애가(泥中蟠龍의 Game愛歌)는 본인이 현재 <경향 게임스>에 2013년 9월부터 연재하고 있는 칼럼의 원본을 올리는 것입니다.